시간복잡도 O(L+NlogL),L=log(max(S0,S1)) 풀이 1번째 test case인 (21, 12)를 관찰해보자. 21, 12, 9, 3, 6, 3, 3, 0, 3, 3, 0, ... 보이는 것과 같이 3, 3, 0이 반복됨을 관측할 수 있다. 이로부터 같은 수가 연속해서 나오면 그 뒤는 a,a,0이 반복됨을 알 수 있다. 그러나 (1018,1)와 같은 경우 같은 수가 연속한 경우까지 너무 오래 걸린다. 만약 (a,b)에서 a≫b라면, a,b,a−b,a−2b,b까지는 자명함을 알 수 있다. 즉 (a,b)에서 (a−2b,b), 나아가 (a−2kb,b)까지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. 정리해보자면, (a,b)에서 i..